Linux DNS (1)
*DNS
인터넷 도메인 이름의 알맞는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시스템
//DNS 서비스시 파일순서
/etc/hosts.conf -> /etc/hosts -> /etc/resolv.conf
*DNS 서버 종류
1.Master DNS Server : 주 DNS 서버
2.Slave DNS Server : 백업 DNS 서버
3.Cache only DNS Server : 캐싱 기능만 있는 DNS 서버
4.Forwarding DNS Server : 포워딩 기능만 있는 DNS 서버
*DNS 캐시서버를 위한 패키지
CentOS 5.x = BIND 9.X
#rpm -qa bind (BIND는 호스트 이름과 주소를 저장하고 검색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BSD 네트웍 프로그램)
#rpm -qa caching-nameserver (caching-nameserver 패키지가 설정파일들이 포함된 패키지)
#yum -y install bind bind-utils bind-libs bind-chroot caching-nameserver
#named -v
#tree -C /var/named/chroot
#service named restart
#chkconfig named on ; chkconfig --list named
*DNS서버 구축
//설정할 파일
1./var/named/chroot/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주 설정 파일)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심볼릭링크)
2./var/named/chroot/etc/named.rfc1912.zones (주 설정 파일)
=/etc/named.rfc1912.zones (심볼릭링크)
3./var/named/chroot/var/named/named.ca (힌트 파일)
=DNS 서버가 모르는 주소를 힌트파일에 있는 주소에게 뿌려서 물어본다.
4./var/named/chroot/var/named/example211.zone (포워드 존 파일, Domain -> IP)
5./var/named/chroot/var/named/example211.rev (리버스 존 파일, IP -> Domain)
//존(ZONE) 파일안에서의 주석 처리
(ㄱ) ; -> Window에서 사용하는 주석
(ㄴ) # -> Unix/Linux에서 사용하는 주석
(ㄷ) /* */ -> C 주석
(ㄹ) // -> C++ 주석
1.주 설정 파일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DNS를 위해 any로 허용)
#vi /etc/named.rfc1912.zones
#named-checkconf 주설정파일이름 (문법점검 명령어)
2.힌트파일생성 (테스트를 위하여, 원래는 설정할 필요 없다)
#cd /var/named/chroot/var/named
#mv named.ca named.ca.old
#vi named.ca
5.파일에 링크걸기 및 설정파일의 그룹권 변경
#ln -s /var/named/chroot/var/named/localhost60.zone /var/named/localhost60.zone
#ln -s /var/named/chroot/var/named/localhost60.rev /var/named/localhost60.rev
#cd /var/named/chroot/var/named ; ls -l
#chown root:named localhost60.* (named 데몬이 읽어야 함으로)
#chown root:named named.ca (named 데몬이 읽어야 함으로)
#service named restart
6.네임서버 테스트
#vi /etc/resolv.conf
#nslookup ns1.linux211.example.com
*DNS서버에 도메인 등록
Resource Record 종류에 따른 등록 방법
//실습 (DNS 네임서버, 메일서버는 두줄로 작성해야함, 단 네임서버는 리버스파일에도 등록)
WEB 서버 등록 요청: www.localhost.com -> 172.30.1.35
FTP 서버 등록 요청: ftp.localhost.com -> 172.30.1.35
MAIL 서버 등록 요청: mail.localhost.com -> 172.30.1.35
CAFE 서버 등록 요청: cafe.localhost.com -> 172.30.1.35
※ 정석은 포워드, 리버스 존 파일 둘다 등록해야 하지만 포워드에 주로 등록 (단 DNS서버는 둘다 등록)
#vi /var/named/chroot/var/named/localhost.zone
*DNS 웹부하 분산 간단 실습 (로드밸런싱)
웹서버를 여러개 두어서 DNS서버가 웹서버 IP를 클라이언트한테 랜덤으로 제공
#vi /var/named/chroot/var/named/localhost.zone
--------------localhost.zone----------------
;; (1) WEB Server
;www IN A 172.30.1.35 <----- 주석(;)처리
www IN A 172.30.1.36 <----- 새로운 라인 등록
www IN A 172.30.1.37 <----- 새로운 라인 등록
www IN A 172.30.1.38 <----- 새로운 라인 등록
---------------------------------------------
#service named restart
#nslookup ww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