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패킷 필터링 기능 NAT/PAT 기능 //구현방법에 따른 분류 1.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방화벽 ex) 윈도우즈 방화벽 2.네트워크 장비 형태로 구현된 방화벽 ex) 방화벽 어플라이언스
*IDS (침입탐지시스템) //종류 1.호스트 기반의 IDS(HIDS) 2.네트워크 기반의 IDS(NIDS) *IPS (침입방지시스템) IDS + 방화벽의 조합 방화벽이 네트워크의 앞부분에서 불필요한 외부 패킷을 한번 걸러주고 다음 IPS에서 효율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종류 1.호스트 기반의 IPS(HIPS) 2.네트워크 기반의 IPS(NIPS) *방화벽, IDS, IPS 비교
*IP-PBX (IP기반의 PBX) 음성통화시 전송되는 시그널을 라우팅하는 라우터 *QoS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빠르게, 일정한 속도로, 신뢰성 있게 보내기 위해 대역폭, 우선순위 등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해 주어진 네트워크 자원에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송신 수요를 지능적으로 맞춰주는 것 *VPN (가상사설 네트워크) 회사내 네트워크에 외부로 접근할 시에 암호화 및 기밀성을 제공 *TCP/IP모델 L1 : 물리계층 ex) LAN Cable L2 : 네트워크인터페이스 ex) CSMA/CD, MAC ..등 L3 : 인터넷 ex) IP, ICMP, ARP, RARP ..등 L4 : 전송계층 ex) TCP, UDP ..등 L5 : 응용계층 ex) DNS, DHCP, NTP, Firewall ..등 *토폴로지 Bus 토폴로지 : Dummy Hub Star 토폴로지 : Switching Hub Ring 토폴로지 : Token Ring Hub VLAN 토폴로지 : Virtual LAN .. .. *랜 전송 매체 케이블 제작 방법 : http://blog.daum.net/kmjhj/9601104?nil_profile=tot 1.Cross Cable 같은 Layer장비을 연결할시 사용 2.Direct Cable 다른 Layer장비를 연결할시 사용 3.Console Cable 콘솔로 접근할시에 사용 ※요즘 장비들은 Cross, Direct 구별없이 사용 가능 *이더넷 프레임 Preamble(8) | Des.MAC(6) | Sour.MAC(6) | Type(2) | Data(46-1500) | CRC(4) |-----------------------------Header--------------------------|--------Data-------|---Tail---| *이더넷 주소 Unicast : CID(xx:xx:xx, 회사ID) + VID(xx:xx:xx, 벤더ID) Broadcast : FF:FF:FF:FF:FF:fF Multicast : 01:00:5e:00:00:01 MAC 주소 목록 찾기 : http://www.coffer.com/mac_find //Mac주소 확인 실습 1.명령어 (linux200) #ifconfig eth0 (win2008) c:> ipconfig /all c:> arp -a
2.와이어샤크 wireshark : 패킷 분석(Ethernet Frame 구조 확인) (linux200) #yum list | grep wireshark (목록확인) #yum -y install wireshark wireshark-gnome #wireshark & eth0의 인터페이스 캡처 선택 --> filter : icmp && ip.addr = 192.168.20.200 #ping -c 2 192.168.20.201 (win2008로 ping을 하여 패킷 확인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