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Type Of Service (8bits) IP Datagram이 라우터에서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정의 ※현재 OSPF 및 소수를 제외하곤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무시 4.Total Length (16bits) IP헤더와 IP데이터를 포함한 패킷 전체길이 5.Fragement Identification (16bits) 데이터그램의 분할과 재조립을 위해서 사용된다. 보내는 쪽에서는 단편화(Fragmentation), 받는 쪽에서는 재조합(Reassembly)이 발생하기 때문에 분할전 원본 데이터그램(Datagram)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ID이다. 6.Fragmentation Flag (3bits) 분할 여부를 식별할 때 사용한다 ※세번째 비트가 1이면 마지막 조각이 아니고 0이면 마지막 조각임을 나타냄 7.Fragmentation Offset (3bits) 조각나기 전 원래의 데이터그램의 8 바이트 단위의 위치이다. 8.TTL (8bits) IP Datagram이 네트워크상에서 살아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정의 9.프로토콜 (8bits) IP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식별자 10.Checksum (16bits) 헤더에 대한 오류 검출 (데이터 제외) 11.Source IP (32bits) 출발지 IP 12.Destination IP (32bits) 목적지 IP 13.IP Header Option (가변 길이 bits) 선택옵션 14.Padding (가변 길이 bits)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