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리눅스/서버관리 (18)
Self-Improvement
*SWAP 디스크내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메모리 공간 메모리 -> swap공간 : 페이지 out swap공간 -> 메모리 : 페이지 in 페이지 in + 페이지 out = 페이징 ※주의 : 스왑을 많이 잡아도 디스크이기 때문에 성능이 좋아지지 않음 그래도 스왑을 잡는 이유는 메모리가 가득 찼을시에도 운용에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함, 페이징이 많이 일어나면 성능이 떨어지며 결과적으론 메모리 증설을 해야함 //스왑 확인 명령어 #cat /proc/swaps #swapon -s #top #free #cat /proc/meminfo | grep -i swap *SWAP 생성 //SWAP File 작업 1.큰 파일 생성 #dd if=/dev/zero of=/swap/swapfile bs=1M count=1024 2...
*RAID 설명 및 종류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신뢰성을 높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장 장치 참조사이트 : http://www.acnc.com/raid Raid Level Tutorial To Understand Raid Technology Raid Level Tutorial to Understand Raid Technology Understanding RAID levels would be easy if you could simply watch your data being written to the drives. RAID.EDU’s award-winning educational materials do just that, along with listing t..
*실습1) LV용량 증가 LV의 용량증가는 mount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pv를 만들어준다 확인은 #pvs vg1으로 vg을 만들어준다 확인은 #pvs, #vgs 2G인 lv1을 만들어준다 확인은 #pvs, #lvs #lvextend -L +1G /dev/vg1/lv1으로 1G을 추가한다. #resize2fs /dev/vg1/lv1 (resize2fs을 해야 마운트된 lv1의 용량이 적용된다) 확인결과 3G로 변경되어있음 *실습2) LV용량 감소시 및 주의사항 (1G로 줄이기) 1.파일시스템을 언마운트한다(마운트 되어있을시) #umount /lv1 2.파일시스템 점검 #fsck -f /dev/vg1/lv1 3.파일시스템 용량 줄이기 #resize2fs -p /dev/vg1/lv1 1G 4.LV용량 줄이..
*LVM (물리적인 디스크들을 논리적으로 구성) //LVM 용어 1.Physical Volume(PV, 물리적인 디스크(/dev/sda) or 물리적인 파티션(/dev/sda1)) -Physical Extent(PE, PV가 갖는 일정한 블록단위) 2.Volume Group(VG, PV가 합쳐진 가상디스크) 3.Logical Volume(LV, VG인 가상디스크를 나누며 파티션인 것) -Logical Extent(LE, LV가 갖는 일정한 블럭단위, PE와 용량 동일) PV1 + PV2 = VG -> LV1, LV2 //LVM 구성종류 1.Striping구성 (데이터를 펼처서 저장 및 읽음) -I/O가 빠름 = 성능 상승 -PE : LE = 1 : 1 ex) 두개의 PV가 연결되어있는 것처럼 데이터를 저..
*파일시스템 점검 및 복구 #fsck /dev/sdb1 (해당 파일시스템을 대화형으로 점검) =#e2fsck /dev/sdb1 =#fsck.ext3 /dev/sdb1 #fsck -p /dev/sdb1 (비대화형으로 점검) #fsck -y /dev/sdb1 (모든 대화에 yes로 점검) #fsck -b 슈퍼블럭번호 /dev/sdb1 (슈퍼블록 번호로 슈퍼블럭 복구) #fsck --help (옵션들을 볼 수 있음) //fsck 주의사항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에 대해서 fsck 명령어를 수행하지 말 것 (안전) 1.umount 한 뒤에 fsck 2.single user mode을 한 뒤에 fsck //슈퍼 블럭을 복구 하는 방법 1. #umount /home (/dev/sda3에 마운트된 /home을 언마운트 한..
*파일시스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체계 #dumpe2fs /dev/sda1(구조를 보는 것) //종류 ext2/ext3/ext4/xfs ..등 *파일시스템 작업 #mkfs.ext3 /dev/sdb1 (ext3형태의 파일시스템 생성) #dumpe2fs /dev/sdb1 (정보를 볼 수가있음) *minfree(Minimum Free Space) 1.파일 시스템이 FUll 되었을 때 파일시스템에 접근 할 수있는 최소의 공간 2.root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예약된 공간 3.파일시스템 생성시 기본 값 5% #mkfs.ext3 /dev/sdb1 (minfree 지정없으면 기본값 5% 공간) #mkfs.ext3 -m 1 /dev/sdb1 (minfree 공간을 1%로 하며 파일시스템 생성) //조정 및 확인..
*디스크 인식 //디스크의 종류 1.IDE(SATA) 2.SCSI(SAS) 3.SSD(메모리) 안전 : | | 성능 : | | 확장 : | | 가격 : | | //디스크 구조 sector -> track -> cylinder -> partition -> disk //디스크이름 1.IDE DISK /dev/hda, /dev/hdb, /dev/hdc, /dev/hdd (4개) 2.SCSI DISK /dev/sda, /dev/sdb, /dev/sdc, /dev/sdd, ... //파티션 이름 1.Primary Partition(1 ~ 4) 2.Extended Partition(5 ~ 15, Primary 파티션을 선택하여 확장) -Logical Partition(세부적으로 나눈다는 의미) ex) hda1 ||..
*백업 종류 1.완전 백업 (Full Backup) = 모든 데이터를 통째로 한 번에 백업하는 방법 2.증분 백업 (Incremental Backup) = 완전 백업한 이후에 변경된 데이터만을 주기적으로 따로 따로 백업하는 방법 3.차등 백업 (Differential Backup) = 완전 백업후의 모든 데이터에 대해 백업하는 방법 *백업/복구 명령어 1.디렉터리 단위의 백업 : tar (마운트된 파일시스탬 내에서 백업, 주로 사용) : cpio (마운트된 파일시스템 내에서 백업) 2.파일시스템 단위의 백업 : dump/restore 3.디스크 단위의 백업 : dd (잘 사용하지 않음) *tar 명령어을 통한 풀/증분백업 //백업 #mkdir /backup /backup2 ; cd /backup2 파일을..